CoreData는 UserDefaults와 비슷하다 생각할 수 있지만, UserDefaults는 간단한 데이터 정도의 저장이 적합하고, CoreData는 UserData, 큰 데이터를 저장하기 용이하다.여기서 CloudKit까지 같이 사용해 준다면, GoodNote 어플처럼 따로 서버를 두지 않고 여러 기기의 앱 내에서 데이터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.key-value형식이나 파일, 또는 CoreData Model 형식과 비슷하게 저장할 수 있는데 GoodNote는 파일 형식으로 저장해서 사용하는 것 같다.SwiftData가 곧 나와 금방 잊혀질 것 같으니 미리 공부해 적용해 봤다.구현먼저 프로젝트 생성시에 Use CoreData, Host in CloudKit을 체크하여 생성한다.체크하면 Persisten..
1. 프로젝트에 Firebase 추가https://console.firebase.google.com/?hl=ko 로그인 - Google 계정이메일 또는 휴대전화accounts.google.comFirebase console에 들어가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설명을 따라가면 쉽게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.GoogleService-Info.plist 를 프로젝트에 추가하고2. Authentication에 사용할 로그인 제공업체 선택새 제공업체 추가를 누르고 구글, 애플을 추가했다3. 프로젝트에 애플 로그인 설정먼저 프로젝트에 들어가 Target의 Signing&Capabillities 를 선택하면 Capaillity를 추가할 수 있는 버튼이 있다.버튼을 누르고 Sign In with Apple을 누르면 추가 ..
참고한 유튜브 자료MVVM 아키텍처를 처음 공부했을 땐 RxSwift로 시작을 했었는데, Combine을 알고 나서 UIKit에서 Combine으로 MVVM을 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에 찾아보고 시도해봤다.유튜브 예제는 통신 예제에 버튼을 누르면 랜덤한 글이 나오게 하는 것이고, 내가 한 건 로그인 화면을 구현한 것이다.프로젝트 세팅은 Storyboard로 진행했고 Combine을 제외한 라이브러리는 사용하지 않았다.간단한 로그인 회원가입 화면을 만들고 MVVM을 적용해봤다.final class SignInViewController: UIViewController, UITextFieldDelegate { @IBOutlet weak var signInButton: UIButton! ..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---|---|
새 글 쓰기 |
W
W
|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---|---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---|---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